1. 디렉터리 정리 Linux
파일
- 디렉터리 파일: 폴더나, 파일을 담고 있는 파일
- 일반 파일
- 장치 파일
- 링크 파일
- 하드 링크 파일
- 심볼릭 링크 파일
디렉터리 구조
/ (최상위 디렉터리)
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| | | | | |
/bin /dev /etc /home /root /tmp
명령어의 형태
#> <command>
#> <command> options, ...
#> <command> arguments, ...
#> <command> options, ... arguments, ...
명령어의 사용법
#> <command> --help
--> 내려간 칸을 위로 올려서 볼수 없다.
#> man <command>
--> 스페이스바 또는 엔터키를 이용해서 이동하며 볼수있다.
-->두개 모두 해당 명령어에 대한 사용법을 보여준다.
예)
#> ls --help
#>man ls
디렉터리
- windows의 폴더의 개념
1.작업 디렉터리: PWD
#>pwd
2.디렉터리 이동: CD (change directory)
- cd <path>
- 절대경로
- 상대경로 -> 자신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경로
#> cd /home
#> cd /home/user --> 절대경로
#> ./user --> home에 있을때 상대경로 나타냄
#> /root
#> ../../root --> 두번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후 루트로 이동
#> cd ~ --> 로그인한 사용자가 관리자일 경우 루트로 이동
디렉터리 특수문자
. : 현재 디렉터리 --> 생략가능( 될때도 있고 안될 때도 있으니 무조건 쓰느걸로 )
.. : 상위 디렉터리
~ :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
/ : 최상위 디렉터리 or 디렉터리 구분자
* 모든 파일의 이름에는 경로가 포함되어 있다.
3. 디렉터리 생성: MKDIR (make directory)
- mkdir<path>
ex)
최상위 디렉터ㅣ( / )
test/dir1/dir2/ 디렉터리 파일 생성
#>mkdir /test
#>mkdir /test/dir1 -->세줄로 해야한다.
#>mkdir /test/dir1/dir2 --> 마지막줄로만 하려하면 에러가뜬다.
-p --> 여러개의 디렉터리를 한번에 만들어줄수있는 옵션.
#>mkdir -p /test/dir1/dir2 --> 한줄로 만들수 있다.
#>mkdir /root/test
|
이름
#>mkdir /root/test
#>mkdir ./test2
#>mkdir test3
#>mkdir ./test4
#>mkdir ./test5 --> #> mkdir ./test4 ./test5 ./test6
#>mkdir ./test6
4.디렉터리 삭제: RMDIR (remove directory)
- rmdir<path>
ex)
#>rmdir /root/test2
5.디렉터리 목록 확인
#>ls <path>
#>ls / --> 최상위 디렉터리 확인
#>ls /home --> 절대경로
#>ls ../home -->상대경로
옵션
-l --> 디렉터리를 자세히 보는 옵션
#>ls -l /home
#>ls -l /home/user
-a --> 숨김파일 포함 해당디렉터리 안에 모든 파일을 확인하는 옵션
#>ls -a /home/user
-a -l or -al --> 숨김파일 자세히
-a -l /home/user or -al /home/user
-d --> 자기자신( 보통옵션 L과 세트로쓴다. )
#>ls -ld /home
#>ls -ld /
-F --> 파일의 형태와 같이 출력(얘도 L과 같이쓴다.)
#>ls -F
-R --> 하위디렉터리 전부 출력
#>ls -R /home
#>ls -lR /hom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