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사용자 관리
- /etc/passwd : 사용자 계정 정보의 저장장소
- /etc/skel : 사용자 계정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뼈대
- /etc/group : 그룹 정보의 저장장소
1. 사용자 확인
user : x : 1000 : 1000 : user : /home/user : /bin/bash
----- -- ------ ------ ----- -------------- -----------
1) 2) 3) 4) 5) 6) 7)
1) 사용자 이름
2) 원래는 사용자 패스워드 자리 ( 지금은 사용하지 않음 )
-> 패스워드 관련파일이 따로 생겨났기 때문
3) UID ( User ID )
4) GID ( Group ID )
5) Comment : 그냥 덧붙이는 말 없어도 상관없다.
6)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경로
7) 사용자가 사용하는 쉘( Shell )
- bash, csh, ksh, ...
예제 ) user1, user02
- 사용자 생성
#>vi /etc/passwd
- 사용자의 패스워드 생성
#>passwd <user_name>
ex) #>passwd user01
- 사용자의 홈디렉터리 생성
#>mkdir /home/user01
- 사용자 뼈대 생성
#>cp /etc/skel/.* /home/user01/
- 사용자 기본 그룹 생성
#>vi /etc/group
- 사용자 권한
#>chown user01. /home/user01
2. 사용자 생성 : useradd
#>useadd <user_name> --> 위에했던 예제의 일들을 한번에 해준다.
#>useradd test01
#>tail -3 /etc/passwd
#>passwd test01
옵션
-u <uid_number> UID 지정
ex)
#>useradd -u 1100 test02
-g <gid_number> GID 지정
ex)
#>userdaa -g 1002 test03
-c <comment> comment 지정
ex)
#>useradd -c hello test04
#>useradd -c 'hello world' test05
-d <homedir_path> 홈디렉터리 지정
ex)
#>useradd -d /linux/test06 test06
ex ) test07 사용자 생성
( UID - 1200, GID - 1003, Comment - hi linux, dir - /linux/test07 )
#>useradd -u 1200 -g 1003 -c 'hi linux' -d /linux/test07 test07
사용자 관리
3. useradd 기본값
- /etc/default/useradd
#>vi /etc/default/useradd
#>cd /var/spool/mail
- command : useradd -D
-b HOME
-s SHELL
-g GROUP
-f INACTIVE
-e EXPIRE
--> skell이나 creat_mail_spool은 옵션이 없다. 수정하려면 vi로
직접 편집해야한다.
#>useradd -D -b /linux --> 홈디렉터리는 linux로 바꾼다.
4. 사용자 수정
- command : usermod
#>usermod <option> <value> <user_name>
-d 홈 디렉터리 변경
-c Comment 변경
-s Shell 변경
-g 기본 그룹 변경
-G 그룹 추가
ex)
#>usermod -d /linux/test01 test01
#>passwd test01
#>usermod hello test01
#>usermod -c hello -g 1003 -d /home/guest01 guest01
5. 사용자 삭제 : userdel -> 사용자와 사용자이름의
그룹만 삭제
#>userdel <user_name>
ex)
#>userdel guest01
#>userdel test07
-r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까지 삭제( 메일함 포함 )
#>userdel -r test06
'LInux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 소유권(권한) 정리 Linux (0) | 2017.04.10 |
---|---|
7. 그룹 정리 Linux (0) | 2017.04.10 |
5. 쉘(Shell) 정리 Linux (0) | 2017.04.10 |
4. 파일관련 명령어 정리 Linux (0) | 2017.04.10 |
3. 파일 내용확인 및 수정 정리 Linux (0) | 2017.04.10 |